본문 바로가기
정신장애

이식증, 증상 및 치료

by luniaworld 2022. 2. 22.

이식증

이식증, 증상 및 치료

 

진단 기준
A. 적어도 1개월 동안 비영양성·비음식 물질을 계속 먹는다.
B. 비영양성·비음식 물질을 먹는 것이 발달 수준에 비추어 볼 때 부적절하다.
C. 먹는 행동이 사회적 관습, 혹은 문화적 지지를 받지 못한다.
D. 만약 먹는 행동이 다른 정신질환이나 의학적 상태 기간 중에만 나타난다면, 이 행동이 별도의 임상적 관심을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한 것이어야 한다.

1. 진단적 특징
▸ 섭취되는 물질은 나이와 가용성에 따라 다양합니다(주의: 껌, 녹말, 얼음이 포함됩니다).
▸ 비음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최소한의 영양분을 가지는 식이요법제의 섭취에는 이식증을 진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발달학적으로 정상적인, 물체를 입으로 가져가는 행동을 배제하기 위해 최소 2세 이상에서 진단합니다.

2. 유병률
▸ 이식증의 유병률은 불분명합니다.
▸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의 상태 심각도에 따라 이식증의 유병률이 증가합니다.

3. 발달과 경과
▸ 발병은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서 가능하지만, 아동기의 발병이 가장 흔히 보고됩니다.
▸ 다른 부분에서 정상 발달을 보이는 아동에서 발병할 수 있지만, 성인에서는 지적장애나 기타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에 발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임신 중 이식증 진단은 갈망(예, 분필을 섭취하고자 하는 갈망)이 비영양성·비음식 물질을 섭취하게 하고, 의학적 위험성을 야기할 때만 가능합니다.
▸ 이식증은 오래 지속될 수 있고, 의학적 응급상황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4. 원인
▸ 유전경향성이 있습니다.
▸ 영양부족상태일 경우 음식뿐만 아니라 음식이 아닌 것도 먹고 싶어 할 때가 있습니다.
▸ 모자관계에서의 장애 때문에 소아가 구강적 욕구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이식증 발생빈도가 높아집니다.
▸ 빈곤, 무지, 부모 지도의 결여, 발달지연 등도 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5. 치료
▸ 명확히 제시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 치료의 1단계는 영양보충과 가능한 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입니다.
▸ 환자가 소아일 경우 부모의 보살핌을 권장하고 놀이기구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행동치료에서는 약한 전기자극, 불쾌한 소리 등을 이용한 혐오치료나 부적강화기법이 단기간 내에 가장 성공적인 치료방법입니다.

6. 성별과 관련된 진단적 쟁점
▸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나타납니다.
▸ 여성에서 임신 중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하지만 산후 기간의 이식증 경과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 없습니다).

7. 이식증의 기능적 결과
▸ 이식증은 신체 기능을 상당히 떨어뜨리지만, 사회적 기능 손상의 유일한 원인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이식증이 사회적 기능을 손상시키는 다른 질환과 흔히 동반되어 나타납니다).

8. 감별진단
▸ 비영양성·비음식 물질의 섭취는 다른 정신질환의 경과 중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섭식 행동이 충분한 기간 동안 지속되고 증상이 추가적인 임상적 주의를 요할 정도로 심각할 때에만 추가적인 이식증 진단이 가능합니다.
▸ 신경성 식욕부진증 : 신경성 식욕부진증에서도 식욕을 조절하려는 목적으로 종이, 휴지 같은 비영양성·비음식 물질을 섭취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체중조절을 위해 이루어졌다면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우선적으로 진단합니다.
▸ 인위성장애 : 신체증상을 위조할 목적으로 이물질을 의도적으로 섭취한 경우, 손상이나 질병을 정교하게 조작하려는 기만적인 요소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감별됩니다.
▸ 자살의도가 없는 자해와 성격장애에서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행동 패턴의 맥락으로 해로운 물건을 삼킬 수 있습니다.

9. 동반이환
▸ 자폐스펙트럼 장애, 지적장애가 있습니다.
▸ 조현병, 강박장애도 있습니다.
▸ 발모광과 피부뜯기장애와 연관이 있습니다. 또한 동반증상으로 머리카락이나 피부를 섭취합니다.
▸ 회피적/제한적 음식섭취장애와 연관이 있습니다. 특히 그들의 증상에 강한 감각적 요인을 가지는 환자에서 그러합니다.

 

 

 

진단기준, 되새김 장애

진단기준, 되새김 장애 진단 기준 A. 적어도 1개월 동안 음식물의 반복적인 역류가 있다. 역류된 음식은 되씹거나, 되삼키거나, 뱉어낼 수 있다. B. 반복되는 역류는 동반되는 위장 

luniaworld.tistory.com

 

댓글